‘서민 임대아파트=변두리’
수도권에 지여진 임대아파트가 중심지역보다는 외곽지역에 집중 건설돼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지역 임대아파트의 경우 도내 안쪽지역의 임대아파트 비율은 4.6%인 반면, 외곽지역은 이보다 3.7배나 높은 16.9%에 달했다.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이진구 의원은 12일 건설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서울·경기 시군구별 임대아파트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외곽지역인 여주의 임대아파트 비율은 65.2%로 수도권에서 가장 높았고, 동두천 역시 58.3%나 됐다.
이어 ▲포천 32.1% ▲안성 25.4% ▲화성 24.1% ▲양평 16.3% ▲평택 15.8% ▲가평 13.5% ▲양주 12.3% 등 9개 시·군에서 임대아파트 비율이 12%를 넘었다. 도내 31개 시·군 중 임대아파트 비율 상위 9곳이 모조리 외곽지역인 것이다.
반면, 안쪽지역은 ▲광명 10.5% ▲의정부 9.5% ▲용인 6.3% ▲군포 5.8% ▲남양주 5.6% ▲의왕 4.9% ▲성남 4.8% ▲고양 4.7% ▲부천 4.6% ▲하남 3.0% ▲수원 2.9% ▲광주 2.4% ▲시흥 2.2% ▲오산 2.1% ▲안양 1.0% ▲구리 0.9% ▲과천 0% 등으로 16개 시의 임대아파트 비율이 10% 미만이었다.
이에 대해 이진구 의원은 “물량확보에만 몰두하는 탁상행정으로 인해 이처럼 임대주택이 ‘필요한 곳’이 아닌 ‘짓기 쉬운 곳’만을 찾아 건설돼왔다”고 지적하면서 “규제를 풀어 좋은 입지에 임대주택이 공급되도록 길을 열어주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