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0℃
  • 맑음강릉 11.6℃
  • 맑음서울 11.6℃
  • 맑음대전 12.4℃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많음울산 12.9℃
  • 맑음광주 13.1℃
  • 구름조금부산 14.6℃
  • 맑음고창 11.7℃
  • 구름많음제주 15.9℃
  • 맑음강화 8.8℃
  • 맑음보은 8.2℃
  • 맑음금산 12.2℃
  • 구름조금강진군 13.2℃
  • 구름많음경주시 9.5℃
  • 구름많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변방으로 쫓겨난 영세민

임대아파트 대부분 도심 외곽에 지어져

‘서민 임대아파트=변두리’

수도권에 지여진 임대아파트가 중심지역보다는 외곽지역에 집중 건설돼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지역 임대아파트의 경우 도내 안쪽지역의 임대아파트 비율은 4.6%인 반면, 외곽지역은 이보다 3.7배나 높은 16.9%에 달했다.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이진구 의원은 12일 건설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서울·경기 시군구별 임대아파트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외곽지역인 여주의 임대아파트 비율은 65.2%로 수도권에서 가장 높았고, 동두천 역시 58.3%나 됐다.

이어 ▲포천 32.1% ▲안성 25.4% ▲화성 24.1% ▲양평 16.3% ▲평택 15.8% ▲가평 13.5% ▲양주 12.3% 등 9개 시·군에서 임대아파트 비율이 12%를 넘었다. 도내 31개 시·군 중 임대아파트 비율 상위 9곳이 모조리 외곽지역인 것이다.

반면, 안쪽지역은 ▲광명 10.5% ▲의정부 9.5% ▲용인 6.3% ▲군포 5.8% ▲남양주 5.6% ▲의왕 4.9% ▲성남 4.8% ▲고양 4.7% ▲부천 4.6% ▲하남 3.0% ▲수원 2.9% ▲광주 2.4% ▲시흥 2.2% ▲오산 2.1% ▲안양 1.0% ▲구리 0.9% ▲과천 0% 등으로 16개 시의 임대아파트 비율이 10% 미만이었다.

이에 대해 이진구 의원은 “물량확보에만 몰두하는 탁상행정으로 인해 이처럼 임대주택이 ‘필요한 곳’이 아닌 ‘짓기 쉬운 곳’만을 찾아 건설돼왔다”고 지적하면서 “규제를 풀어 좋은 입지에 임대주택이 공급되도록 길을 열어주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