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양촌 등 전국 7개 신도시 사업지에서 개인에게 지급된 토지보상금의 41.04%(3조7천83억원)가 외지인에게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24일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이진구 의원(충남 아산)이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로부터 입수한 ‘신도시 보상비 지급내역’을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정부가 현재 건설 중인 신도시는 김포양촌, 파주운정, 성남판교, 대전서남부, 화성동탄, 오산세교, 아산배방 등 7곳으로, 이들 사업지에서 일반개인에게 지급한 보상비는 올 3월 현재까지 총 9조6천24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의원이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개인에게 지급된 토지보상금은 ▲김포 양촌이 2조1천415억원(2천909명)으로 가장많고 ▲파주운정이 1조9천406억원(2천810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성남판교 1조7천612억원(2천556명) ▲대전서남부 1조962억원(3천241명) ▲화성동탄 8천116억원(2천747명) ▲오산세교 6천917억원(1천248명) ▲아산배방 5천927억원(1천273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신도시가 들어서는 행정구역 안에 거주하는 개인에게 지급된 토지 보상비는 5조3천276억원으로 전체의 58.96%를 차지했고, 인원수로는 총 대상인원 1만6천784명중 8천413명으로 ‘절반’에 해당된다.
하지만 나머지 절반인 8천371명은 외지인으로 3조7천83억원(41.04%)이 지급됐다.
사업지별 외지인에 대한 토지보상비율은 ▲화성동탄이 59.17%로 가장 높은 것을 비롯해 ▲파주운정 55.89% ▲오산세교 54.91% 등 3곳에서 지역 내 거주자 보다 외지인에 대한 보상금액이 더 많았고, 또 ▲성남판교가 47.92%에 이르렀다.
반면 ▲김포양촌(27.10%)과 충청권 ▲아산배방(24.36%) ▲대전서남부(17.77%)는 외지인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외지인 8천371명의 주소지를 시도별로 집계한 결과 ▲서울 1조7천182억원(19.01%) ▲경기 1조4천731억원(16.30%) ▲인천 2천52억원(2.27%) 등 서울과 수도권 거주 외지인에게 풀려나간 토지보상비만도 3조3천966억원으로전체의 3분의1이 넘는 37.5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원수로도 서울·수도권 거주 외지인은 전체의 44.4%인 7천460명에 이르렀다.
한편 7개 신도시 전체의 1인당 평균토지보상금액은 5억3천836만원으로, 평균금액이 가장 많은 곳은 김포신도시로 7억3천617만원이며, 가장 적은 곳은 동탄신도시 2억9천548만원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