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허탈함만 남은 청춘바친 농사

“매각·환매 시세 좁히는 실질지원 마련”
“농지은행 현실외면” 농민들 한 목소리

 

“30년 피땀흘린 결과가 이렇게 허무할 줄 알았다면 농사를 시작하진 않았을 거야.”

자식보다 소중히 여겨왔던 농토를 최근 농지은행에 매각하기로 결정한 뒤부터 최영택(53·안성시)씨는 거의 매일 새벽까지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다.

30년 동안 희노애락을 함께 해 온 농토를 다시 찾을 수 있을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최씨는 농지 매각 이야기를 꺼내자 표정이 급격히 어두워졌다.

“이젠 모든걸 다 포기하고 그냥 쉬고 싶어, 내 나이 53살인데 농사를 시작한지 딱 30년 됐으니 내 청춘을 이 땅에 다 바쳤지”라며 “그 때 소팔고, 아내 패물팔고 농지은행에 융자까지 받아가면서 평당 8천원짜리 땅을 사 농사를 시작하게 됐다”고 지난날을 회상했다.

그는 “농지은행에 땅을 매각하면 내가 다시 살 수 있다곤 하지만 땅값이 제자리에 있는 것도 아니고 5년 뒤에 오른 땅값을 생각해 보면 환매는 꿈도 못 꿀 일이야”라며 “농지은행이 취지는 좋지만 농가의 현실은 반영하지 못해 환매는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농지은행의 본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농토를 매각한 시세와 다시 구입할 때의 시세차를 어느정도 좁혀줄 수 있는 지원책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농지은행에 농토를 매각해도 일반 토지 판매와 같이 양도소득세의 적용 대상이 되고 대토하는데 드는 비용도 일반토지 소유자에게 땅을 빌려 농사를 짓는 비용과 비슷해 환매를 할 수 있다는 것만 빼면 농지은행의 장점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환매도 농가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농민들은 환매를 보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씨는 요즘 더 큰 고민에 빠졌다.

최씨의 두 아들이 모두 가업을 이어 농부가 되겠다고 했기 때문이다.

“몇 년전만 해도 열심히 농사에만 매진하면 피땀흘린 노력의 결실을 맺을 수가 있었기 때문에 아들들이 농사를 짓겠다고 했을 때 반대하지 않았지만 요즘은 사정이 다르다”며 “농촌이 점점 벼랑으로 내몰리는 상황에서 아들들이 갖고 있던 영농후계자라는 자부심은 빛을 잃어가고 있다”고 한탄했다.

최씨는 “앞으로가 더 걱정이야, 면세유는 폐지되고 경작지는 줄어드는 추센데 농사 기계는 점점 대형화돼 부농이 아니고는 농사 짓기를 포기해야 할 판이야”라며 “아들들도 아직까진 농사를 짓겠다고 하지만 언제 그만두고 도시로 나갈지 모르는 일”이라고 걱정했다.

이야기를 마친 최씨는 이러한 농촌의 현실을 개탄하며 머지않아 매각 결정을 기다려야하는 자신의 땅을 하염없이 바라보았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