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4일 정부의 부처 기자실을 통폐합하는 ‘취재지원 선진화방안’을 계획대로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기본 방향은 변함 없이 간다”고 전제한 뒤 “다만 브리핑제도를 보다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 현재 제기되고 있는 의견 중에 합리적인 것은 능동적으로 수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앞으로 언론과 정부 모두 상당기간 불편이 따르겠지만 언론은 취재방식과 스타일, 정부는 언론을대하는 방식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변화해야 한다”며 “그런 차원에서 미시적 조정 가능성을 닫고 있지 않는 것이지 기본 방향은 달라질 게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 과정은 언론의 품질을 높여 국민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와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지 않겠나”라며 “부처 출입기자실 제도 폐지는 언론이 사안에 통합적 시각으로 접근하게 해 기획과 연구 중심의 보도가이뤄지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기자실 통폐합안에 대한 언론계 등 각계의 반발에 대해서도 “실제보다 굉장히 왜곡된 반응이지만 한편으로는 각오했던 일”이라며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분위기다.
한 핵심관계자는 “이 방안은 기존 참여정부 초기에 도입했던 개방형 브리핑제를 실행하는 연장선에 있다”며 “각 부처 기자실을 한 군데 모으는 것이 거의 유일한 외형적 변화인데도 5공의 언론통폐합 조치 운운하며 매우 악화된 정책을 하는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