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을 앞두고 시의회에서 의견서를 제출해 일부 마찰을 빚은 것으로 알려진 용인시 행정조직 개편안이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시에 따르면 이번에 확정된 조직개편안은 1국 9과 1동 39담당을 증설하고 157명을 증원해 공무원 정원을 2천34명으로 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시의회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알려진 이번 개편안은 본청 5국 28과 132담당, 사업소 11과 39담당, 읍·면·동 1읍 6면 23동 등으로 1차 개편안의 본청인원을 줄여 구청 등에 추가인력을 배정했다.
인구급증에 따른 기반시설 강화와 생활민원 및 문화시설 등 새로운 행정수요 창출에 시와 시의회가 의견을 모은 결과로 보인다.
이번 개편으로 전국평균의 약 2배에 달했던 공무원 1인당 주민수 423명이 391명으로 조정돼 민원서비스 개선 등이 기대되며 2007년 시행된 총액인건비제는 97%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인구 70만 이상 시의 경우 1국을 증설이 가능하고 구청 개청 당시보다 20만이 넘는 인구가 급증해 조직세분화가 절실하다”며 “시의회의 의견을 적극 수용해 최종 확정한 이번 개편안으로 넘치는 행정수요에 일정정도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7월 개편안 시행과 동시에 시는 또다시 대대적인 조직개편안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여 행정의 비능률성과 책임행정 불가 등을 둘러싼 논란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77만명 수준에서 5개월여 만에 80만에 육박하는 등 폭발적인 인구증가를 보이는 용인의 경우 2008년 하반기 중 행정조직개편 기준인구인 9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남대 조창연 교수는 “표준정원제에서 총액인건비제로 바뀐 현재 용인 등에 행자부 지침을 무조건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행자부가 총액인건비 안에서 기초지자체에 인사권과 조직개편권한을 이양하고 광역지자체가 이를 컨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