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수원디지털이밸리는 다양한 문화 이문화 체험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며 임직원들의 창조 마인드를 키우고 있다. 사진은 '창조 아카데미'동호회의 '창조적 글씨쓰기' 강좌 모습./사진제공=삼성전자
국내 펀드시장이 수적인 부문에서는 세계 최고인 반면 양적인 측면에서는 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운용협회가 19일 발표한 ‘2·4분기 세계 펀드 산업 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국내 펀드 수는 9천2개(사모펀드 포함)로 조사대상 40개국 중 가장 많았다.
하지만 펀드당 순자산은 3천338만 달러로 지난 분기 대비 9.5%의 증가를 보였지만 미국의 펀드당 순자산 14억2천480만 달러의 4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과 일본의 경우도 각각 4억4천380억달러, 2억3천250만 달러로 집계돼 국내와 큰 차이를 보였다. 또 유형별 펀드 중 국내의 주식형펀드 비중도 29.5%에 그쳐 일본 82.8%와 영국72.1%, 미국 57.5%보다 크게 떨어졌다.
주요 국가별 펀드 수를 살펴보면 한국에 이어 미국이 7천987개, 일본이 2천862개, 영국이 2천86개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펀드 전체의 순자산 규모에서 한국은 3천5억달러를 기록, 전 분기와 동일한 세계 14위를 유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