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수원지역지부는 지난달 30일 오후 3시 수원 근로자종합복지관 4층 강당에서 ‘2007년 노사파트너십 재정지원사업 연구용역보고 및 사업성과 토론회’를 개최했다.
경기경영자총협회와 공동주최한 이번 토론회에는 동정복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사무처장과 노사관계자 등 130여명이 참석, 수원지역 노·사·정포럼의 활동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노·사·정·공익의 역할을 규명해 실천적 대안을 모색했다.
또 국립한경대 류호상 노동복지과 교수는 지난 8월과 10월 수원 선진노사문화정착포럼에 대한 운영 평가를 설문조사한 결과 수원지역 노·사·정·공익 파트너십의 최우선 과제로 정부의 일자리 만들기 정책이 27.2%로 가장 많았고 비정규직 보호(25.2%), 공공부문 및 사회적 일자리 창출(22.3%)의 순이었다.
이에 따른 지방정부의 역할은 재정적지원(세제, 금융상의 우대 포함) 44%, 홍보(우수기업 표창, 소개책자 등) 20.2%, 인력지원(기능인력, 기능요원 배정 등) 14.7% 등으로 나타났다.
수원지역 노·사·정·공익 파트너십 구축의 장애요인으로는 집단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것(30.8%), 사회적 대화기구 필요성 인식부족(25.6%), 노사간 갈등(16.2%) 등의 의견이 나왔다.
류 교수는 “집단별 설문지 회수 결과, 1차 설문은 노동계측의 의견이 많이 반영됐지만 2차설문은 집단별 회수율 차이가 크지 않았다”며 “많은 설문자들이 포럼이 노사분쟁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해 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같이 포럼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회원 외 다른 사람들의 인지도는 부족한 것으로 조사돼 앞으로 홍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