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수준별 영어수업 실시 방안을 밝힌데 대해 대통합민주신당이 강력 반발하는 등 논란이 거듭되고 있다.
인수위 이경숙 위원장은 30일 삼청동 인수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실천방안 공청회’에 참석, 패널리스트들과의 질의응답에서 “지금 인수위 안은 수준별로 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밝혔다.
이주호 사회.문화.교육분과위 간사는 “수준별 수업을 강조한다”며 “영어수업이 안되는데는 교사들만의 책임이 아니고 시스템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영어수업 확대 방안을 두고 학생들의 수준편차를 면밀히 고려해 수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이에대해 신당은 이날 이명박 정부와 인수위의 영어교육 정책을 조령모개식 졸속 정책으로 규정, 당 차원의 대응을 위해 박명관 최고위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미래희망교육 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결정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영어만 잘하면 군대도 면제시켜 주고 사범대 안 나와도 영어교사를 하도록 한 것은 영어만이 출세의 지름길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공교육의 틀 안에서 외국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좋지만 영어를 못하면 사회에서 생존을 못하거나 영어 잘하는 사람에게 특혜를 주는 사회가 된다면 국민은 좌절하고 절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재성 원내대변인도 국회 브리핑을 통해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서민교육 말살이자 엄청난 사교육비 증가를 예고하는 것”이라며 “이경숙 인수위원장은 숙명여대 다루듯 대한민국을 다루면 안된다. 자신의 경험을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검증도 없이 국가의 일에 적용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신당 교육위원들도 성명을 내고 “교육정책은 국가의 백년지대계인데 인수위는 어설픈 내용을 마구잡이로 발표하면서 사교육 융단폭격을 가하고 있다”면서 “해당부처가 심도있는 검토를 거쳐 발표해야 할 정책의 세부사항까지 미리 다 확정된 것 처럼 발표하는 것은 월권”이라고 인수위의 교육정책 재고를 촉구했다.
한편 신당은 지난 28∼29일 유권자 800명을 대상으로 자체 실시한 ARS 조사결과에 따르면 영어몰입교육에 대해 반대 52.3%, 찬성 36.4%, 영어능통자 군특례 적용은 반대 66.6%, 찬성 2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