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화훼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그린벨트 해제문제로 제동이 걸렸다.
이로 인해 지난해 10월 준공한 화훼단지 인근에 조성키로 한 판매ㆍ유통시설 건립이 지연되면서 반쪽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였다.
27일 시에 따르면 시는 2002년부터 덕양구 주교ㆍ원당동 일대에 화훼 재배, 관광, 판매시설 등을 한 곳에 모으는 화훼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1단계로 지난해 10월 33만㎡부지에 화훼단지를 준공했다.
467억원이 투입된 화훼단지에는 46개의 농업벤처와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국내에서 가장 큰 육종연구시설(1만6천여㎡규모)과 품목별 생산단지, 온실 등 생산 관련 시설이 집적돼 있다.
입주 첫 해인 지난해 35억원의 판매실적을 올린 화훼단지에서는 각 품목별 생산이 본격화되는 올해는 12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애초 시는 생산시설과의 시너지 효과를 노려 화훼단지 인근 22만4천여㎡에 판매ㆍ유통시설과 테마공원을 각각 설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해당 지역이 현행법상 판매시설 건립이 불가능한 그린벨트여서 시는 2004년 건교부에 그린벨트 내에 화훼전시판매시설 건립을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2006년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부결처리 됐다.
또 시는 지난해 그린벨트 해제를 요청하는 재상정안을 제출했지만 건교부에서는 재상정이 불가하다는 통보를 했다.
이에 따라 시는 그린벨트 해제가 선행돼야 하는 판매·유통시설은 보류하고 테마공원사업을 먼저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시는 올 4월 도에 그린벨트 관리계획변경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시는 변경 승인이 나는 대로 2012년까지 683억원을 들여 생산단지 인근에 초화원, 수목원 , 화훼역사관 등으로 구성된 테마공원을 건립할 방침이다.
시는 또 재경부에 화훼산업특구를 확대 지정해 줄 것을 신청해 유통·판매시설도 장기 과제로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생산단지 일대만 토지이용행위 제한이 크게 완화되고 각종 허가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화훼산업특구로 지정돼 있다.
시 관계자는 “화훼단지를 화훼산업의 메카로 키우기 위해서는 유통과 관광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시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