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제한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이 조만간 입법예고될 예정이어서 불가능했던 중앙대 하남 글로벌 캠퍼스 유치가 가시화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국방부로 이관된 미군 반환 공여지 중 하나인 캠프콜번 부지(하산곡동 소재)는 지난 2006년 3월 제정·공포된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 수혜를 받지 못하는 개발제한구역에 포함돼 대학설립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에 시는 캠프콜번 부지 활용방안으로 청소년수련시설, 근린공원 설립 등을 검토한 바 있으나 김황식 시장 취임 이후 미군반환 공여지 활용계획을 전면 수정하는 등 부지 활용방안이 재검토됐다.
특히 종합대 유치과정에서 서강대, 성균관대를 상대로 유치를 적극 검토했으나 이들 대학들이 1,2개 학부 또는 단과대학을 희망해 대학유치가 한 때 어려움을 겪기도 했었다.
하지만 중앙대가 종합대학 캠퍼스 설립 의사를 밝힌데 이어 개특법 시행령 개정안이 이달 중 입법예고 될 예정이어서 대학유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김황식 시장과 개발사업단 관계공무원은 그동안 미반환 공여지에 대한 종합대학 유치에 걸림돌이 되는 개특법 시행령개정을 위해 매주 국토해양부 관계자를 찾아가 법 개정활동을 추진했다. 또한 박범훈 중앙대학교 총장 등도 현 정부의 주요정책과제로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 개특법 시행령 개정안이 확정돼 이달중 입법예고 될 전망이다.
시는 오는 2010년까지 건축물 철거 및 환경정화를 완료하고 주변지역에 대한 도로, 상·하수도, 전기, 가스 등 기반시설을 설치한 뒤, 2013년까지 하남글로벌 캠퍼스를 준공 한다는 계획이다.
중앙대학교는 2014년 일부 단과대학을 우선 개교하고 ‘CAU 2018’ 장·단기 발전계획에 따라 세계 100대 명문대학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2018년에 하남 글로벌캠퍼스에서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중앙대 하남 글로벌캠퍼스가 들어서게 되면 학생 1만여명과 교수 및 임직원 5천여명 등 유동인구 증가로 연간 300~4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물론, 지하철 유치기반 확보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