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용인시시민장학회(이하 시민장학회)가 기금의 일부를 펀드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입는 등 물의를 빚자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본보 7월 3일자 10면) 기금의 대부분을 출연한 용인시가 문제해결에 나서기는 커녕 시민장학회 자체해결 사안이라며 뒷짐만 지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또 여러차례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던 용인시의회는 물론 관리감독청인 용인교육청도 지난 2월 시민장학회의 보고를 받기 전까지 아무런 내용도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나 기금관리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3일 용인시와 용인교육청 등에 따르면 용인시시민장학회는 지난 2001년 시가 29억2천만원을 최초 출연해 설립됐으며 장학기금의 총규모는 현재 99억 5천만원에 이른다.
시는 시민장학회 설립 이후 해마다 기금 출연을 계속해 총 94억원의 예산이 장학기금 조성에 투입됐고 기금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해 주민생활지원국장이 당연직 이사로 시민장학회 운영에 참여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는 20억원의 장학기금이 전임 이사장 장모씨 등에 의해 펀드에 투자된 사실을 한동안 적발하지 못한 것은 물론 경찰의 전격적인 관련서류 압수와 수사착수로 이번 일이 불거지기까지 시민장학회에만 자체적인 문제해결을 종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무려 100억원에 달하는 시민의 혈세가 장학기금으로 출연하고 이사장의 업무상 배임혐의 등에 대한 경찰수사 등 문제가 본격화된 현재도 관리감독권이 교육청에 있다며 책임을 회피한 채 뒷짐만 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임 이사장의 일방적인 결정에 의해 기금의 일부가 원금보존이 불확실한 펀드에 투자한 사실을 알고 시민장학회 관계자들에게 조속한 문제해결과 대책을 촉구했다”며 “기금 대부분이 시민의 혈세로 조성된 것은 맞지만 실제 감독청이 교육청이라서 원활한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상시 관리감독의 책임을 맡고 있는 용인교육청도 지난 2월에야 부랴부랴 기금의 원상회복을 위한 대책마련을 지시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용인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수시로 지도 관리하고 있지만 과중한 업무량으로 공익법인에 대해 제대로 신경을 못 쓰고 있는게 사실”이라며 “구상권 확보 등 대책마련을 요구했지만 아직까지 특별한 대책이 없는 상태”라고 말해 관리의 허술함을 드러냈다. 한편 시민장학회는 경찰의 전격적인 수사 착수 이후 다음주 이사회를 거쳐 장모 전임 이사장을 정식 고발하고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