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KBS에 대해 “좌파의 이해를 반영하고 그들의 주장을 반영하는 보도를 일관해 왔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차명진 대변인은 24일 ‘백지연의 SBS 전망대’와 인터뷰에서 “그동안 KBS가 탄핵, BBK, 촛불시위 속에서 특정세력을 과도하게 편드는 방송으로 일관하지 않았느냐”며 “지금 KBS를 국민의 방송으로 돌려놓기 위한 것을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분들 자체가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차 대변인은 KBS 정연주 사장 퇴진 논란과 관련해서는 “나 스스로도 KBS를 보고 아연실색한 게 북한에 불법으로 갔다온 사람을 영웅시하는 프로그램을 자연스럽게 내보내고 있는 정치편향의 KBS, 그리고 사원들 대다수가 경영부실 책임을 묻고 있는 사장을 물러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YTN의 구본홍 사장 임명 논란에 대서도 “YTN은 민간기업으로 YTN 이사들이 뽑은 것으로 왜 대통령 특보를 임명했는지는 (임명 이유를) YTN 이사 분들한테 여쭤봐야한다”면서 “마치 정부기관에서 특히 여당이나 청와대서 작용한 것처럼 생각하는 것 자체가 대단한 오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이버 모욕죄’ 추진에 지지 입장을 밝힌 이유에 대해 “수천, 수만의 사람이 한번에 보는 공간에서 특정인을 비방·모욕하거나 허위사실 유포로 당해본 사람은 치를 떨게 된다”며 “완전히 광란의 짓을 할 수 있는 자유를 표현의 자유로 잘못 해석하는 것은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