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유가로 인하여 항만의 경영수지가 악화되고 발리유엔기후협약 등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 환경규제에 대비한 항만분야의 조기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과 관련, 친환경 항만 구축을 위한 ‘항만 하역분야 에너지비용 절감대책’이 추진된다.
국토해양부는 인천항, 평택항, 부산항, 광양항 등 우리나라 주요컨테이너 항만의 트렌스퍼크레인(RTGC) 운영현황을 파악한 결과, 181기에 대하여 동력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5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같은 결과에 따라 올해부터 3년간 단계적으로 전환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일부 항만에서 시행하던 동력전환 사업을 전체 컨테이너 항만으로 확대하여 정부에서 체계적으로 지원함으로서 동력전환 사업이 한층 탄력 받을 전망이다.
또 항만의 하역 비용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친환경 항만구축을 위한 항만하역시스템의 중·장기적 개선대책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국제유가 급등, 친환경 항만(장비)구축, 컨테이너선의 초대형화·고속화 등 국제물류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항만의 국가경쟁력 강화의 필요에 기인한 것이다.
항만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핵심기술의 전략적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친환경·고효율 하역장비 도입시 하역장비 현대화자금을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야드트렉터 등 기존 하역장비는 단계적으로 고효율·친환경 장비로 대체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향후에도 항만분야의 첨단물류장비 개발, 친환경 물류시스템구축을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동북아 허브항만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고 국가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컨테이너 항만의 야적장에서 사용하는 트렌스퍼 크레인(RTGC)의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해 시범운영 결과 기존 유류비의 10%내외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고,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도 64.4%에 이르는 등 동력전환시 에너지비용 절감은 물론 온실가스 저감효과도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