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본청과 9개 소속기관을 5개로 통·폐합하는 기구개편안을 추진하면서 대규모 인사이동이 불가피해지자 자칫 대규모 인원감축으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우려에 직원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농진청은 정부의 실용적 조직개편화 방안에 입각해 조직내부를 통합 및 이관, 기능을 축소화하는 개혁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이에대해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농진청의 개혁안을 면밀히 검토중에 있다고 보고했다.
농진청이 제출한 개혁안을 보면 본청의 경우 경영정보정책관을 기술협력단으로 전환, 현 2관2국18과를 1관2국1단21과로, 외청은 9개 소속기관을 5개 기관으로 축소한다는 내용이다.
소속기관의 명칭도 농업과학기술원이 ‘국립농업과학원’, 작물과학원이 ‘국립식량과학원’, 원예연구소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축산과학원이 ‘국립축산과학원’ 등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기존 농업생명공학연구원과 농업공학연구소는 국립농업과학원으로, 현 작물과학원 소속 인삼연구소(음성소재)와 난지연구소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이관된다. 또 고령지농업연구소도 국립식량과학원으로 흡수된다.
이같은 조직개편안이 결정되면 본청 및 소속기관의 경우 전체 107개 과가 93개로 축소되며 줄어드는 14개과 과장들은 국가농업과학기술개발 15개 아젠다 등 프로젝트 팀장으로 배치되도록 돼 있다.
이같은 내용을 담은 조직개편안이 본청 및 소속기관에 알려지자 직원들은 일손을 놓은 채 농진청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통폐합대상기관에 포함된 직원들은 새로 탄생하는 기관의 하부조직이 어떻게 구성 될지 궁금해 하며 자칫 인원감축대상에 들지도 모른다는 우려감에 불안해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이수화 청장 취임 초 3년간에 걸쳐 600명의 인원감축을 예고했는데, 이번 개혁안이 통과되면 보다 많은 인원감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발 더 나아가 농진청의 민영화가 현실화 되면 지금까지의 인원감축은 빙산의 일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