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인천공항 민영화 방침에 대해 야당 정치권과 노조, 항공업계까지 민영화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 향후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8월 11일 ‘제1차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지분 가운데 49%는 민간에게 매각하고 51%는 국가가 소유하는 부분 민영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민주장 등 야권에서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2천71억원으로 지난 2004년부터 4년 연속 흑자를 내고 있는 알찬 기업”이라며 “인천공항은 경영 효율성이 높은 공기업으로 민영화 방안은 공익성과 국민 편익을 도외시한 것”이라고 전면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또 인천국제공항공사 노동조합(위원장 강용규)도 “국민의 혈세로 지어져 현재 안정적인 흑자 기반을 에 들어선 공항공사를 외국자본 등에 매각한다는 것 자체가 국부유출”이라며 “해외 공항 관계자들이 벤치마킹을 하기 위해 방문하는 우수공항의 매각은 철회돼야 한다”며 민영화 반대 국민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밖에도 항공업계는 공항이 민영화될 경우 사무실 이용료 등 비용 인상 가능성이 높아 인상비용 만큼을 고객에게 전가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을 내세우며 민영화를 반대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당초 이달 안으로 2차 공기업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려 했다가 다음달로 연기, 인천공항 민영화 계획이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발표될 것인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