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해상·항공의 여러 물류정보를 연계·통합 물류기업 등에 제공하는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가 오는 2011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축될 전망이다.
특히 센터가 구축되면 다양한 물류주체에 One-Stop으로 물류정보를 제공하고 정부나 기업의 의사결정 등을 지원, 물류경쟁력 향상과 연간 550억원 규모의 물류비가 절약되게 된다.
국토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구축계획을 올해 안으로 확정·착수할 예정이며 관련 전문가·학계·물류업계 등의 의견수렴을 위해 8일 서울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공청회는 그동안 업계의견 수렴과 설문조사 등을 통해 마련한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비전과 서비스 방안이 발표됐고 최초의 통합물류정보서비스에 대해 업계는 물론 관련학계·전문가 등 물류종사자들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국토부는 또 물류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고 民·官·學·硏 등의 물류관계자가 원하는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 각계각층의 다양한 물류활동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물류정보 공동활용체계를 구축하게 됐으며 특히 (구)건설교통부와 (구)해양수산부가 통합돼 陸·海·空의 물류를 총괄하게 됨에 따라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구축은 부처통합 시너지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관계자는 “해운항만 물류정보시스템과의 연계·통합을 통해 명실상부한 陸·海·空 통합물류 네트워크로서 양질의 물류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갖추게 됐다”며 “물류정보를 통합하고 분배하는 기능과 함께 물류기업의 비즈니스를 지원과 물류정보 분석능력을 강화, 물류정책의 효율도 높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