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소각장의 주민감시원제가 여론의 도마위에 올랐다.
관련법을 외면하고 시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등 변칙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추천권을 가진 시의원들이 조례를 무시하고 감시원을 위촉, 측근챙기기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그래서 이를 지켜보는 시민들의 눈총이 따가울 수 밖에 없다.
네티즌들은 시의원들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시민의 마당쇠가 된다더니 주인이시네요’ ‘공무원들에게는 예산절약하라고 호통치더니 어떤 의원인지 알고 싶네요’
전화위복을 주문한 네티즌도 다수 있었다. ‘시의원의 추천권을 없애야 한다’ ‘관심을 가지고 규정을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구리소각장이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첫째, 애매한 조례를 개정해야 한다.‘3개월에 연임할 수 있다’는 조항에 연임횟수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3개월 위촉규정의 의미를 살릴 수 있을 뿐 더러 퇴직금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둘째, 소각장 시설에 걸맞는 환경단체 또는 전문가들이 협의체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동안 한 번도 감사를 받지하지 않은 점도 논란거리다.
시의원들이 추천한 감시원들에게 이래라 저래라 할 만한 ‘간 큰’ 공무원이 있겠는가.
한 시의원은 비정규직, 전문성, 책임감 결여 등을 거론하며 변명했다. 하지만 그것은 이유에 걸맞지 않다. 전문성을 가진, 관련법에 알맞는 사람을 찾아 쓰면 된다. 그리고 필요하면 조례를 개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민들은 의원들에게 ‘자기사람만 챙기려 한다’며 눈총을 주고 있다.
이 와중에 다행인 사실도 밝혀졌다. 신태식 의원은 6개월마다 감시요원을 교체해 퇴직금을 발생시키지 않았다.
지금 ‘일자리 나누기’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때에, 신 의원은 일자리 나누기에 앞장서고 있다. 이제 시민정서를 충족시키고, 의혹의 눈길을 피할 수 있는 선택은 의원들의 생각과 행동에 달렸다.
소각장의 주민감시요원제가 비록 여론의 도마위에 올랐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아름다운 해법을 찾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