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9일 공기업의 대졸 초임을 최대 30% 삭감하겠다고 발표하자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금융공기업들이 동요하고 있다.
금융공기업들은 정부의 청년실업 해소와 일자리 나누기 정책에는 원칙적으로 공감하지만 공기업 임금 삭감이 고용창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금융공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연봉이 적었던 중소기업이나 상공인들은 금융공기업의 고통분담 차원에서 정부의 방침이 적절하다는 모습니다.
정부의 방침이 발표되자 이날 산업은행과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연봉 수준이 높은 금융공기업들은 임금 삭감 방안에 기존 직원들도 포함되지 않을까 잔뜩 긴장한 모습이 역력했다.
기술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정부의 이번 방침은 구체적이지 않아 실질적인 고용 확대로 이어질 지 미지수”라며 “신입 직원에 대한 임금 삭감 방안이 기존 직원들에게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우려로 조직내 분위기만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산업노동조합도 임금 삭감 여부는 노조와의 합의 사항인 점을 강조하면서 정부의 방침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하고 있어 금융기업 노사간 합의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임금 삭감은 노조와의 합의 사항이기 때문에 노조가 동의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면서 “신입 직원과 기존 직원의 형평성 문제도 있는 만큼 정부의 방침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반면 A상공인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금융공기업은 지나치게 높은 임금을 받아 신의 직장으로까지 불리며 민간기업과 자영업자들에게 위화감을 주었다”면서 “정부의 이번 방침은 청년실업 해소와 일자리 나누기 인 만큼 성실하게 이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