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생산성이 높은 계층으로서 고용의 중추인 30대 취업자가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로 떨어져 비상이 걸렸다.
22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30~39세 취업자는 581만1천명으로 통계청이 4주 기준 고용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월 기준으로는 2004년 616만6천명에 달했지만 2005년 603만8천명, 2006년에는 606만7천명을 기록한 이후 2007년에 596만7천명으로 600만명선 아래로 떨어졌고 2008년에는 597만8천명으로 5년째 하락세를 보였다.
성별로는 2월 중 30대 남성 취업자가 375만1000명, 여성 취업자는 206만명으로 모두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였다.
이에 따라 2월 전체 취업자에서 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 28.0%에서 2005년 27.3%, 2006년 27.1%, 2007년 26.3%, 2008년 26.1%에 이어 올해는 25.6%까지 떨어졌다.
2월 중 30대의 고용률도 70.7%로 통계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생산가능 인구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구직단념자 등이 계산에서 제외되는 실업률·취업률 통계보다 고용상황을 더 정확히 보여주는 지표다.
이는 현재 고용 중인 30대 취업자들이 여타 연령대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로 퇴출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30대 취업자가 급감하는 이유를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해고와 영세 자영업자의 휴·폐업에서 찾고 있다.
2월 임시근로자는 486만2천명으로 1년전 대비 19만2천명, 일용근로자는 189만7천명으로 8만1천명 줄었다. 증감률이 각각 -3.8%, -4.1%에 달할 만큼 고용 상황이 열악했다.
자영업자 등이 포함되는 비임금근로자도 678만9천명으로 25만9천명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