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가긴 간데요. 가면 안 되는데”
최근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의왕·과천)이 발의한 ‘정부과천청사 이전에 따른 과천시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놓고 과천 시민들은 그 배경을 무척 궁금해 하고 있다.
그간 돌아가는 판세로 봐 청사이전은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며 애써 물밑 깊숙이 가라 앉혔던 불안감이 슬며시 다시 고개를 치켜들고 있는 것도 특별법 발의와 무관하지 않다.
무엇보다 중앙정치에 밝은 안 의원이 법안 발의를 자체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안 의원은 정부청사의 이전을 누구보다 반대했고 올해 초만 해도 각종 행사에서 “행정수도 이전은 힘들 것”이란 입장을 견지해온 점을 감안하면 시민들의 반응은 대체로 “이전을 전제로 한 발의가 아니겠느냐”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국토해양부와 기획재정부 등 주요 부서가 입주해 있고 상주 공무원 6천명에 청사를 찾는 민원인까지 하루 7~8천명이 움직이는 정부청사는 과천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청사이전의 경우 과천지역 총생산 40%, 고용인구 1만 여명 감소예측은 과천으로선 감당하기 힘든 충격이다.
특히 시민들은 종합청사부지가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분류된 건물 부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개발제한구역으로 공공시설 외엔 각종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일부 견해에 공동화에 따른 지역경제가 붕괴되는 것 아니냐는 공포에 휩싸여 있다.
청사이전이 거론된 이듬해인 지난 2005년 과천은 가스 불에 올려놓은 냄비처럼 들끓었다.
과천지역경제를 떠받치는 존재가 사라질 위기에 직면한 시민들은 거리로 뛰쳐나왔고 사회단체장들도 잇단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가세했다.
이제 시민들의 투쟁목소리는 잦아들었으나 그렇다고 불안감을 털어버린 건 아니다.
청사이전 후 어떤 시설이 들어설까하는 기대와 그 기대에 못 미치는 시설이 들어서면 어쩌나 하는 우려가 교차한다.
그간 주민들은 대학이나 10대 기업, 지식기반 및 연구단지 등을 유치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모든 시민들은 하나같이 청사가 떠나도 지금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거나 최소한 현 상태는 유지되는 지역경제를 바라고 있다.
안 의원이 특별법 발의 제안이유에도 밝혔듯 ‘언제라도 살고 싶은 도시’가 ‘언제라도 떠나야 할 도시’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지역경제가 국가경쟁력이란 정부인식이 필요하다.
또 그 어떤 유치계획안이든 과천시민들의 합의하에 진행돼야 한다는 것도 가슴깊이 새겨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