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소비 등 10대 경기 선행지표가 7년 만에 모두 플러스로 전환돼 경기회복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를 근거로 하반기 경기 바닥론에 무게감이 실리고 있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8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6개월후의 경기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지난 4월 경기 선행종합지수는 전월 대비 1.6% 상승한 114.7로 지난해 5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지난해 5월 115.0이던 지수는 6월부터 내리막을 걷다가 올해 1월부터 4개월째 상승했다.
특히 4월에는 선행종합지수를 구성하는 10대 지표 모두가 2002년 3월 이후 7년1개월 만에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됐다.
선행종합지수는 고용, 생산, 소비, 투자, 금융, 무역 등의 향후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10개 지표로 구성되며 원자료에서 계절요인을 제거한 뒤 해당 월까지의 3개월 이동평균을 적용해 불규칙 요인도 없앤 수치를 바탕으로 산출한다.
4월 세부 지표를 보면 구인구직비율은 37.9%로 전월보다 2.3%포인트 상승하며 7개월 만에 플러스로 바뀌었다. 실질 자본재수입액은 7조4천764억원으로 전월보다 3.7% 증가하며 7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실질 건설수주액은 전월보다 3.9% 증가한 6조5천701억원으로 넉 달 만에 마이너스에서 벗어났다.
재고순환지표 전월차는 6.6%포인트 상승하며, 종합주가지수는 전월보다 4.0% 오르며 각각 석 달째 플러스를 이어갔고 소비자기대지수는 5.9포인트 오르며 2개월 연속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