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기업에 이어 800개 중소기업에 대한 본격적인 구조조정작업에 돌입한 가운데 도내 중소기업 유관기관들은 구조조정의 필요성에는 대체로 수긍하면서도 금융기관 주도의 워크아웃 진행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은행단은 공공기업과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기업 등을 제외한 5천여개 중소기업에 대해 기본평가를 실시하고 이중 세부 평가가 필요한 800개 사를 선정, 다음달 중순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할 예정으로 있다.
세부평가 대상이 된 중소기업들은 평가 완료 후 C등급(부실징후기업) 이나 D등급(부실기업) 판정을 받으면 구조조정 대상이 된다.
이에 대해 도내 중소기업 관련 유관기관들은 구조조정에 대한 실효성을 지적했다.
중소기업중앙회 박동하 경기지역본부장은 “이번 구조조정은 은행에 의한 옥석가리기로써 자칫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나 기술력보다는 당장의 채무상환 능력위주로 평가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울러 중소기업이 구조조정 수단인 워크아웃 대상이 되면 금융권의 과도한 경영권 개입으로 경영 정상화에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며 “현 워크아웃제도는 지속적인 사후관리 및 과감한 자금 지원 등이 보완 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구조조정에 대한 필요성에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중소기업진흥공단 박정배 경기지역본부장은 “중소기업들은 이미 일상적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해 큰 긴장감은 없을 것”이라며 “중진공이 운용하는 중소기업 정책자금 역시 중소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한 방법으로 기업이 이번 정책자금 신청을 거절받았다면 D등급을 받은 것과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구조조정은 공식적으로 기업들에 대한 명확한 진단을 하게 돼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의 채무를 재조정하고 실적개선을 위한 자구책 등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