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경유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한데 비해 택배요금은 반토막 수준으로 폭락한 것으로 나타나 택배시장이 지나친 경쟁으로 위기에 처해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택배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여년간 경유값은 540원(1999년 평균)에서 1천408원(2009년 8월 현재)으로 160.7% 상승한 반면 국내 택배단가는 같은 기간 4천70원에서 2천350원으로 42.3% 하락했다.
이 보고서는 “택배단가 하락은 영업소 수수료 인하로 이어져 택배사원의 근로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면서 “이로인해 택배업 종사자의 이직률은 20~30%에 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인터넷쇼핑몰 등 전자상거래가 큰 폭으로 성장해 택배물량은 급증하고 있지만 화물자동차 증차제한으로 차량 수급난까지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택배용 차량은 약 6천500대가 부족한 상태이며 연간 20%의 택배물량 증가율을 감안하면 매년 3천대 이상의 증차가 필요하다는 것이 대한상의측 판단이다.
상의는 “택배업체가 난립하고 있어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보다는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저가공세로 생존경쟁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서비스 경쟁으로 사업 패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비스 차별화 방안으로는 ‘지정시간 집배송’, ‘영업소·택배사원 직영화 비율확대’, ‘표준 요율제 시행’, ‘화주와의 서비스약정제 실시’, ‘택배사원 자격제 운영’, ‘택배교육 의무화’ 등을 꼽았다.
아울러 정부도 택배산업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상의는 “택배산업이 엄연히 존재하는데도 이를 규정하는 법규 및 통계가 없어 산업의 실상을 파악하기 어렵다”면서 ‘택배업의 업종지정’, ‘정부통계작성 의무화’, ‘운임표 갱신 정례화’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