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수출기업 채산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국내 수출기업 4곳 중 1곳은 수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마지노선 환율이 이미 무너진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수출제조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기업 애로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수출마진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환율수준으로 ‘1천190원 이상’(16.2%), ‘1천160원~1천190원 미만’(8.0%), ‘1천130원~1천160원 미만’(21.4%), ‘1천100원~1천130원 미만’(37.2%), ‘1천100원 미만’(17.2%)을 각각 응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최근의 환율수준(10. 15일 현재 1천155원)을 감안할 때 기업 24.2%는 수출 마지노선 환율이 이미 무너진 상태임을 의미한다.
특히 앞으로 환율이 계속 하락해 1천100원이 무너질 경우, 기업 80% 이상이 수출을 통해 마진을 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한편 이번 설문에 응답한 국내 100대 기업(응답기업 31개사)은 환율 10원 하락 시 연평균 매출액이 기업 당 371억원 감소한다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기계, 섬유의류, IT·반도체 등이 환율하락에 따른 피해 커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 영향은 업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계’(87.0%), ‘섬유·의류’(85.7%), ‘IT·반도체’(83.9%), ‘전기·전자’(77.3%) 등은 환율하락 영향이 ‘수출에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업종 평균치(69.2%)를 상회해 상대적으로 환율하락에 따른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향후 환율이 급락할 경우 중소수출기업을 중심으로 한계상황에 봉착할 기업들이 생겨날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는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환율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