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기술개발은 기업이 성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중 하나다. 그러나 지금의 경제위기 속에서 가뜩이나 자금난에 허덕이는 기업들이 기술개발에 여력을 보이기도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에 경기도는 기업지원 정책의 주요한 테마로 도내 첨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과학기술과 산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숙제다.
도는 최근 과학기술 분야 예산을 현재 2천억원 규모에서 2014년까지 4천억원까지 확대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의 기술적인 애로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연구개발 투자 확대도 중점 추진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현재까지 경기도가 추진해온 기술개발 사업의 성과와 이후 추진전략에 대해 점검해 본다.<편집자주>
글싣는 순서
[상] 발로 뛰는 기업지원 행정 ‘기술 닥터’
[중] 기업을 위한 경기도의 기술개발사업의 현재와 미래
[하] 기업과 주민, 지자체가 하나되는 경제 중심체로
경기도의 기술개발지원과제로 선정된 차량용 내비게이션 관련 생산업체 H사는 차세대 음성인식 기술을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차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특히 기존 음성인식 네비게이션들이 주행중 잡음으로 음성인식 성능이 떨어지는 점에 착안, 새로운 기술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경기도의 기술연구 개발 지원을 받고 있는 이 기업은 현재 세계최초 연속 음성인식 엔진 임베디드 상용화와 100만 단어 이상의 대용량 음성인식 엔진 상용화에 성공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인식성능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지자체와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협력해 나아갈 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모델이 되고 있다.
기존 경기도의 과학기술정책 지원은 주로 하드웨어 구축에 집중되어 왔다. 도 과학기술 예산의 절반 이상을 광교테크노밸리나 판교테크노밸리 등의 핵심 거점 인프라 조성에 투자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는 이같은 하드웨어를 활용, 지역의 기술혁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미 구축된 과학기술 인프라를 활용해 과학기술 개발과 기업지원을 위한 혁신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는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차원의 전략에 따라 연구개발 예산이 분배,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만으로는 경기도내 기술개발 투자는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이에 경기도는 광역지방정부로서 지역의 산업발전을 위한 역할을 다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위한 정책지원 예산을 집중 편성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중앙정부와 달리 예산규모의 한계로 전략분야에 대한 선택적 집중 지원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도가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산업기술분야와 공공기술분야 등에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기업이 주도하는 기술개발의 경우 기업의 요구에 따라 탄력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이중 기업주도 기술개발은 제조업의 모든 분야에 걸쳐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보고 사업발굴, 사업단 구성과 협력 연구기관 선정, 기술개발자금의 배분, 사업진도 관리, 개발된 기술의 활용 등의 모든 과정에서 기업의 권한을 최대한 보장해주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말 기술개발사업에 대해 사업계획 공고 및 설명회를 거쳐 신청서를 접수한 결과 산업기술분야에만 44개 선정에 263건이 접수돼 6대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에 2차 평가를 가쳐 산업기술분야 30개, 공공기술분야 4개, 산업혁신클러스터 21개, 기업개방형 33개 등 총 88개 과제를 선정하고 사업비를 교부한 바 있다.
이어 올해에도 지난해 계속과제 50건을 포함 총 148건에 233억7천1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중 산업기술분야는 44건에 105억1천300만원의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어 산업혁신클러스터 45건(61억8천700만원), 기업개방형 47건(41억2천100만원), 공공기술분야 12건(25억5천만원) 등을 선정 지원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사업수행 기관의 현장점검을 통해 사업추진의 내실화를 꾀하는 한편 사업실적을 중간평가해 부실한 과제는 10% 안팍에서 지원을 중단하고 있다.
한편 도는 기술관련 정책연구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가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네트워킹과 클러스터링 촉진방안 등 4건에 대한 연구결과를 내놓은데 이어 ▲과학기술 정책 ▲전략산업 기술개발 사업 기획 ▲네트워크 사업 등 크게 3개 연구과제로 나눠 정책연구 업무를 추진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