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관내 서울시립장사시설(벽제화장장) 주변의 일부 주민들이 최근 화장장 입구를 봉쇄해서라도 주민들의 피해에 대한 의사표시를 서울시에 적극 전달해야 된다는 강성발언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고양시가 (사)한국정책과학연구원에 용역을 의뢰,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피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고양시에 따르면 서울시립 장사시설 주변 지역인 고양, 벽제, 선유, 대자동 등 4개 동 주민 429명을 대상으로 주민 피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56.9%가 교통체증과 확장되지 않는 좁은 도로 때문에 교통 불편이 크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지역발전 저해(53.6%), 지역 이미지 훼손(39.2%), 부동산 가치 하락(37.8%), 문화 및 편의시설 부족(24.7%) 등의 피해를 보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통체증의 경우 도로가 협소한 데다 성묘 차량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은 만성적인 교통체증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이동차량에 의한 교통소음 피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 주민들은 화장장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기업 유치 등 개발이 어렵고 지역에 대한 이미지도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으며 혐오시설이 입지하고 있다는 이유로 부동산이 저평가돼 경제적 피해도 입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한국정책과학학회는 1번 국도와 국지도 78호선을 연결하거나 39번 국도와 지방도 367호선을 연결하는 우회 노선 건설 등 묘지 주변에 대규모 주차장을 건설해야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고양시는 이 같은 주민들의 피해실태 조사결과를 토대로 서울시와 주민 지원 방안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