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1인당 GNI 38년만에 243배 껑충

한은, 새 국민계정 기준 통계… 연평균 성장률 7.5%
1970년 255억弗서 지난해 1만9천231억弗로 상승

우리나라 국민총소득(GNI)이 1970년 이후 지난해까지 36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인당 GNI 역시 이 기간 동안 243배 증가, 1970년 세계 119위에서 지난해 세계 52위로 67계단 뛰어 올랐다.

한국은행은 21일 새 국민계정 통계 기준에 맞춰 1970~1999년 통계를 변경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국민계정 통계 기준연도를 2000년에서 2005년으로, 추계방식을 고정가중법에서 연쇄가중법으로 각각 변경했다. 2000~2008년 통계는 이미 지난 3월 새 기준에 따라 개편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GNI 규모는 1970년 2조8천121억원에서 2008년 1천30조6천363억원으로 367배 확대됐고, 1인당 GNI도 1970년 9만원에서 지난해 2천120만원으로 243배 증가했다.

미 달러화로 표시한 1970년 GNI는 82억달러로 세계 38위 였으나 2008년에는 9천347억달러로 세계 15위를 기록했으며 1인당 GNI는 1970년 255억달러(세계 119위)에서 지난해 1만9천231억달러로(세계52위)로 상승했다.

1971~2008년 중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7.5%로 나타났으며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연평균 7.1% 증가했다.

생산구조면에서는 1970년 이후 농림어업의 비중이 급감한 반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은 크게 상승했다. 단, 2000년대 들면서 제조업 비중은 오히려 하락했다.

민간소비 비중은 1970년 74.5%에서 1988년 49.1%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계속 상승해 2008년에는 54.5를 기록했고, 정부소비지출은 외환위기(1997년 11.5%)를 거치면서 비중이 계속 높아져 2008년 15.3%에 이르렀다.

설비투자 비중은 외환위기 이전까지 약 40% 수준을 나타냈으나 2000년대 들어 위축되면서 지난해 32.0%까지 낮아진 반면 건설투자 비중은 건물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수출입의 대GNI 비율은 1970년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2008년에는 내수경기의 위축으로 110.6%까지 상승했다.

총저축률은 80년대 후반인 1988년 40.4%까지 가파르게 상승했으나 이후 하락세로 반전돼 2008년에는 30.7%를 기록했고, 국내총투자율은 1990년대 중반까지 40%대에 가까운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이후 기업 설비투자 부진 등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