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올해 중소기업의 경영애로가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 금융분야 애로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올 한해 정부부처 및 관계기관에 건의한 중소기업 현안과제는 위기이전인 지난해의 259건보다 251.4%가 증가한 11개 분야 651건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분야별 정책건의 건수로는 금융관련 애로가 65건으로 가장 많아 중소기업에게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이 매우 컸음을 반영했다.
또 기술·환경분야가 52건을 차지, 글로벌화가 진전되며 국내 중소기업도 기술경쟁 격화와 녹색규제 증가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세제·회계 47건, 규제 44건, 소상공인·유통과 무역·판로가 각각 39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정부 등에 건의해 정책에 반영되거나 해소된 애로는 모두 302건으로 전체 651건의 46.4%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총 65건의 애로 중 41건이 정책에 반영된 ‘금융’분야의 정책반영률이 63.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정책일반’ 55.9%, ‘무역판로’ 51.3%, ‘기술환경’ 48.1%, ‘대중소기업간 협력’ 45.5% 순이다.
반면 ‘규제’분야는 건의한 44건 중 불과 11건만 정책으로 연결돼 반영률이 25.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제·회계’분야도 47건을 건의했으나 13건만 반영되며 27.7%의 부진한 정책반영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