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설이 시작됐다. 올해에 이뤄졌으면 하는 소망들은 저마다 다 다르지만, 건강을 지키고 싶다는 바램은 모두 같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느끼는 성인들은 더욱 그렇다. 특히 먹는 즐거움과 직결되는 치아건강은 1순위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나이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인의 치과질환, 내 나이에는 어떤 질환을 조심해야 하는 걸까? 페리오플란트치과 성남분당점 이종수 원장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도움말=페리오플란트 치과 성남분당점 이종수 원장>
▲사회생활 가장 활발한 30~40대, 치과 4대 질환 주의해야.
사회생활이 시작되는 20대 이후부터 치아 건강은 서서히 나빠지는데, 스트레스와 음주, 흡연이 잇몸을 자극하고 약화시켜 치주질환이 진행되기 시작한다. 30~40대가 되면, 각종 치과질환이 나타나는데, 청·장년층에게 많은 치과질환은 주로 충치와 그로 인한 결손치, 치경부 마모증, 잇몸질환(풍치)을 꼽을 수 있다.
충치는 성인이 되면 유아에 비해 진행 속도가 더뎌지고, 성인들이 달고 끈적이는 음식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30~40대에 충치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문제는 10~20대에 발생한 충치가 오래되서 치아를 뽑아 결손치가 생기는 경우. 결손치가 생기면 음식물을 한쪽으로만 씹게돼 치아 마모가 심해지고 빠진 치아의 치조골이 흡수되면서 잇몸이 위축되는 등 부작용이 생긴다. 또한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고 치아가 한쪽으로 쏠려 충치발생확률도 높아진다. 따라서 충치는 미리 치료하고 결손치가 있다면 방치하지 말고 반드시 인공치아를 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경부 마모증은 잇몸과 맞닿은 치아의 아랫부분이 움푹패여 잇몸과 치아 사이가 벌어지는 질환으로 찬물을 마시거나, 겨울철이 되면 이가 시린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잘못된 칫솔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치경부 마모증이 발생했을 때는 마모된 부위를 레진이라는 치아색 재료로 커버를 해 시린 증상을 감소시키는 치료가 필요하며, 양치질을 할 때 칫솔을 좌우로 움직이지 말고 상하로 움직여 바른 칫솔질을 하면 예방할 수 있다.
치주질환(풍치)은 방치했을 때 충치보다 더 무서운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치주염으로 인해 치아를 지탱해주는 치주 인대의 2/3이상이 손실되면 결국 멀쩡한 치아라도 뽑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6개월~1년에 한번씩 치과를 방문해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좋다.
▲50대 이후 노년기 - 구강건조증 일으키는 약물피하고, 물 많이 마셔야.
노화가 진행되면 구강내에도 변화가 생긴다. 침의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입이 자주 말라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돼 잇몸질환이나 염증이 생기기 쉽다. 노년기 질환으로 인해 복용하는 약물들도 구강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고혈압약, 우울증약(항울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대표적이다. 구강건조증을 완화시키려면 물을 많이 마시고 달콤한 간식이나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 담배 술을 삼가야 한다. 입이 심하게 마를 때는, 방치하지 말고 치과를 찾아 치료를 받도록 한다.
많은 노인들이 치아를 상실하고 틀니를 끼게 되는데 틀니 관리도 꼼꼼히 해주는 것이 좋다. 특히 틀니의 걸쇠 바로 밑 부분에 세균이 증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청결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하루에 한번은 틀니를 구석구석 닦아주고, 잘 때에는 뽑아서 물속에 담가두면 틀니를 청결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아침에 일어나서 한번, 식사 후 마다, 그리고 자기 전에 한번, 이렇게 하루 다섯 번 따뜻한 소금물로 입안을 헹구는 것도 구강청결에 도움이 된다.
임플란트를 한 경우에는 임플란트 치아 주변 잇몸 염증을 조심해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치조골에 염증이 생기면 임플란트를 뽑고 다시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플란트를 했다면 6개월에 정기적으로 치과검진을 받아 관리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