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여성]의사결정, ‘女聲’배제 여전하다

완전한 성평등 ‘1’ 가정 평등점수 0.594
2008년 현재 지수 3년전 비해 1.7% 상승

여성부 성평등지표 개발 및 측정 방안 연구 발표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을 점수로 매긴다면 성적이 과연 어떨까? 완전한 성평등 상태를 ‘1’로 가정할 때 2008년 현재 시점으로 우리나라의 성평등 점수는 ‘0.594’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부(장관 백희영)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2009년 추진한 ‘성평등지표 개발 및 측정 방안 연구’를 통해 측정된 것이라고 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성차별의 근원을 해결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부문별 성차별의 원인, 수준과 개선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목표치를 설정하는 등 성평등정책 전략을 체계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추진됐다.

또한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을 가장 잘 나타내 줄 수 있는 지표를 수집해 8개 부문별(가족, 복지, 보건, 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직업훈련, 문화·정보, 안전)로 구축하고 이를 정책과 연계해 정책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전문가 조사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평등 지수값을 계산해 냈다.

연구 결과, 최근 3년간의 성평등지수값은 미미하지만 조금 증가해, 2008년에는 0.594점으로 2005년에 비해 1.7% 상승했다.

가족 부문은 셋째아 이상 출생 성비가 하락(여아에 대한 남아 비율 감소)해 점수가 소폭 상승했고, 경제부문은 비정규직 여성비율이 증가하고 남녀간 임금격차가 커졌으며 여성 경제활동참가율도 낮아졌으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폭이 남성보다 적어 해당 부문 성평등 지수값이 3년 전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반면 안전 부문은 남녀 범죄피해자가 모두 증가했으나, 남성에 비해 여성의 증가폭이 커서 점수가 하락했다.

2008년 현재 성차별이 가장 적은 부문은 보건 부문, 가장 큰 부문은 의사결정 부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 부문 성평등 지수값은 0.892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으며, 다음으로 문화·정보 부문(0.872점), 교육·직업훈련 부문(0.796점), 경제활동 부문(0.771점) 등의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사결정 부문의 성평등 지수값은 0.116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이는 성평등 관련 각종 국제지수에 대표성 분야의 우리나라 순위가 특히 낮은 것과 일맥상통하는 결과로, 향후 정치·경제 등 각 분야 여성의 참여 확대 과제가 시급함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외에도 복지 부문(0.323점), 가족 부문(0.514점), 안전 부문(0.528점) 순으로 성평등 지수값이 낮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태홍 박사는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의사결정 및 복지 부문, 가족 부문 성평등 촉진을 위한 정책이 시급하며, 안전 부문에 대한 정책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향후 국가 성평등지표체계를 통한 국가 성평등정책 관리체계 구축과 국제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 성평등지표와 국가 성평등지표의 연계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