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기업에 대한 창업 및 판로기회가 크게 확대된다.
중소기업청은 23일 장애인들의 기업활동 촉진을 위한 정부, 공공기관의 장애인 기업제품 공공구매 규모를 지난해 3천100억원에서 올해 4천500억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장애인 기업제품의 공공구매제도는 정부와 210개 공공기관이 제품 조달시 장애인기업제품을 구매해주는 제도다.
중기청은 우선 공공기관의 구매편의를 위해 장애인 기업제품의 데이터베이스를 공공기관에 제공하고 공공기관 입찰정보를 장애인 기업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춘다.
또 조달청의 2천만원 이하 소액수의계약제도를 적극 활용해 210개 공공기관의 구매지원을 강화하고 국내외 전시회 참가지원, 산업재산권 취득 지원 등을 통해 판로 개척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장애인들의 창업지원도 확대된다.
올해 장애인 맞춤 창업아이템 발굴을 위해 20개 업종에 걸쳐 조사 연구활동과 경진대회를 진행하고 창업강좌 시행규모도 지난해 400명에서 올해 700명으로 확대한다.
이밖에 장애인 기업의 경영역량 제고를 위해 서울과 대구, 광주 등 전국 6곳에서 매월 2회 이상 회계, 경영 전문가를 초청해 운영되는 애로상담실을 개최한다.
또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인원 300여명을 기업서포터로 지정해 장애인 기업을 전담 지원하도록 할 방침이다.
정영태 중기청 차장은 “장애인기업 지원시책을 통해 장애인이 단순 복지나 고용의 수혜대상에서 스스로 업을 일으키고 경제주체로 발돋움해 국민경제에 공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