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을 구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가구가 불과 1%로 나타나는 등 최근 주택구입 심리가 급격히 위축돼 주택시장의 침체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선호주택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주택구입 의사를 밝힌 가구는 1%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39.7%는 ‘관심은 있지만 여건이 용이치 않아 계획을 못 세우고 있다’고 답했고 ‘지금은 관심 없다’ 또는 ‘중·장기적으로 추진한다’는 응답이 각각 34.7%, 24.6%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최근 3년간 연평균 주택 거래량이 전체 가구수의 7%를 상회해 왔다”며 “이번 조사는 국민들의 주택구입 심리가 위축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드러낸 것”으로 풀이했다.
이어 “실수요자들까지 주택구매를 미루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주택 수요기반 약화, 미분양 심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주택을 “소유”의 대상으로 보는 인식은 여전했다.
내집 소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81.6%는 ‘소유해야 한다’고 답해 ‘소유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18.4%)는 응답보다 4배가 많았다.
주택소유가 필요하다는 응답자들은 10명중 9명 가량(88.4%)이 ‘심리적 안정’을 꼽았고 ‘투자가치’(6.0%), ‘전월세 가격 급등 불안’(5.4%)은 소수에 불과했다.
선호하는 주택은 방 3개, 욕실 2개가 딸린 99.1㎡(30평대) 아파트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 2명중 1명(51.9%)은 99.1㎡(30평) 규모의 주택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어 66.1㎡(20평) 29.2%, 132.2㎡(40평) 10.2%, 33㎡(10평) 4.4%, 165.2㎡(50평) 이상은 4.3% 순이다.
이에 대해 상의는 “출산율 하락, 1인가구 증가, 고령화 등 인구·사회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대형주택에 대한 인기가 주춤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여기에 자녀의 양육공간, 프라이버시 등을 확보할 수 있는 평형대가 99.1㎡(30평)인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