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판교신도시 내 쓰레기 소각장에 대한 건강 및 환경유해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 확실한 안전실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준공을 코 앞에 둔 상황에서 성남시장 예비후보들이 일제히 이 문제를 강력 제기하면서 “판교기반 공공시설물에 대한 인수작업을 당장 중단하라”(본보 3월31일 5면, 4월1일 5면 보도)고 성남시를 압박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4일 성남시와 이들 시장 예비후보들에 따르면, 현재 판교택지개발사업은 마무리 작업과 함께 지난해 5월부터 인수팀이 구성돼 한창 인수작업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최근 민주당 이재명 성남시장 예비후보들이 “판교 쓰레기소각장(판교 클린타워) 굴뚝 높이가 필요 최소한의 높이인 70m 보다 낮은 58m 설치돼 주민 생명과 건강이 침해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나라당 황준기, 양인권, 이정숙 시장 예비후보들도 “소각장 등 기반시설이 졸속 인수되고 있다”면서 “충분한 검토를 한 후에 결정하라”고 반대의 뜻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토지주택공사(LH) 판교기반시설팀은 “소각장 굴뚝 높이의 환경 안전기준 명시 규정이 없는데다 실제 굴뚝 높이는 주변건물 인접 여부와 지형 여건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면서 “판교 소각장은 진일보한 기술력으로 배출가스 농도가 크게 낮아져 건강상 폐해 우려가 없다”고 반박했다.
토지주택공사 측은 또 “다이옥신의 경우 거의 발생하지 않는 열분해용융방식의 소각로를 사용하고 소각장 반경 300m 이내에 낮은 건물을 배치해 피해 우려가 없다”고 덧붙였다.
시 역시 소각장 굴뚝 58m는 고도제한 범위내에서 최대치를 반영한 것으로 소각장 시설 기술력이 크게 발전해 운영상 문제점이 없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한편 시는 현재까지 판교도서관, 청소년수련관, 수질복원센터 등 인수를 마친 것을 비롯 도로, 상·하수도, 교통시설물, 공원 등 9천765개 시설물 중 절반 정도 인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으며, 향후 인수작업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전문인력보강 전담반을 구성 운영해 나갈 방침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