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년연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기업들은 아직 정년을 연장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인크루트와 함께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정년연장에 대한 기업의견’을 조사한 결과, 92.6%의 기업이 ‘정년연장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고 14일 밝혔다.
반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거나 정년연령 자체를 늦춤으로써 정년을 연장하겠다는 기업은 각각 3.7%에 불과했다.
정년연장 계획유무와 관계없이 기업들은 정년연장 자체에 대해서도 반대하는 의견이 더 많았다. 정년연장에 찬성한다는 기업은 39.3%에 불과한 반면 정년연장 자체에 반대한다는 기업이 57.4%를 차지했다.
정년연장에 반대하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연공급으로 인건비 증가’(29.8%)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었다.
이어 ‘인사 적체’(21.0%), ‘인력운용 경직화’(17.0%), ‘생산성 저하’(14.3%), ‘신입직원 채용곤란’(12.3%), ‘업무태만 우려’(4.3%) 등이 반대이유로 제시됐다.
찬성하는 기업들은 정년연장이 ‘고령근로자의 경험·노하우 활용’(57.0%), ‘근로자 사기진작’(24.0%), ‘숙련인력 부족에 대비’(16.3%) 등의 장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정년연장의 선결과제로 인건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임금피크제 도입’(54.0%)과 ‘고령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42.0%)을 많이 지적했다.
이어 ‘고용보호규제 완화’(35.3%), ‘노동조합 및 근로자의 협력’(34.3%), ‘직무급제 도입’(29.7%) 등을 필요요건으로 제시했다.
정년을 늘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는 ‘단순한 정년연장’(7.0%)보다는 ‘정년퇴직 후 재고용’(37.0%)이나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29.0%),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22.0%)를 실질적인 방안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