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中 진출 중기 기술보안 ‘빨간불’

75% “기술유출 속수무책” 사후대응 소극적
중기청, 대응매뉴얼 제작·보급 지원책 실시

중국에 진출한 우리 중소기업의 75%가 기술유출에 ‘속수무책’인 것으로 나타나 기술보안 대책에 비상이 걸렸다.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공동으로 지난 12일부터 16일까지 중국에 진출한 현지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기술보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28.0%가 해외진출 후 산업기밀의 외부유출로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경험비율이 14.7%인 것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현지에서 기술유출 피해를 경험한 기업 중 78.6%가 기술유출이 현지 채용직원에 의해 일어났다고 답해 가장 많았다. 이어 협력업체 관계자(35.7%), 경쟁업체 관계자(21.4%), 본사 파견직원(14.3%) 등을 꼽았다.

특히 기술유출 발생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기업이 75.0%에 달해, 기술유출에 대한 사후대응이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단속기관에 신고한다는 기업은 21.4%, 법적대응을 한다는 기업은 3.6%에 불과했다. 또 응답기업의 84.0%가 보안과 관련한 투자를 전혀 하지 않고 있는 등 보안대비 태세가 매우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의 93.0%는 내부직원이 기밀유출을 시도할 경우 유출이 가능하다고 답했고 59.0%가 진출 국가의 기술유출 관련 법규나 제도에 대해서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70%는 자체보안규정 조차 마련하고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청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해외 진출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보안 지원대책을 마련하여 실시할 방침이며, 이를 위해 주요 진출 국가별로 ‘기술보안 대응매뉴얼’을 제작, 재외공관 및 KOTRA 등을 통해 보급할 계획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