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이 지난 금융위기 당시 지출비용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정리해고를 실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리해고 대상자에 포함된 정규직의 경우, 경력 1년차 미만의 사원급 여성 직장인이 가장 많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최근 대기업 75곳과 중소기업 152곳의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정리해고 부작용 체감 유무’에 관해 조사한 결과, 67.8%에 해당하는 기업들이 금융위기 당시 지출비용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정리해고를 실시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대기업(66.7%)보다 중소기업(68.4%)이 약간 더 많았다.
정리해고를 실시한 대상자로는 정규직만을 대상으로 정리해고를 실시했다고 답한 기업이 42.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계약직과 정규직 모두(33.1%), 계약직만(24.7%)의 순이다.
직급항목에서는 ▲1순위 사원급(50.0%) ▲2순위 대리급(55.2%) ▲3순위 과장급(58.6%) 순으로 대상자가 많이 포함돼 있다고 답했다.
경력 년차에서는 ▲1순위 1년 미만(44.8%) ▲2순위 1~3년차(44.0%) ▲3순위 3~5년차(63.8%) 순이며 특히 성별에서는 ▲1순위가 여성(63.8%)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금융위기 당시 정리해고를 하지 않은 기업들 중에서는 ‘임금동결 및 삭감’을 통해 지출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고 답한 응답률이 5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채용동결(41.1%) ▲회식 및 워크샵 비용 동결 및 삭감(24.7%) ▲야근비와 식대비 등 부대비용 동결 및 삭감(23.3%) ▲직원 교육비용 동결 및 삭감(11.0%) 등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