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은 오는 20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1층 그랜드 볼룸에서 국내 최초 외상과 관련된 국제학회인 ‘아주국제외상학술대회(Ajou International Trauma Conference)’를 개최한다.
우리나라는 최근 교통량, 산업재해, 폭력 등이 늘어나면서 특히 40대 이하에서 ‘사고’가 가장 큰 사망원인이 됐다.
이는 선진국에서도 가장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으로서 이에 따른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각 지역별 거점 외상센터를 육성하는 등 국가적인 외상체계 수립에 힘써왔다.
국내에서는 사고사에 따른 손실소득액이 국내총생산(GDP) 3.3%일 정도로 사회적 비용과 인력손실의 문제가 심각해졌고 그럴수록 외상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아주대병원의 경우 2006년에 응급실을 찾은 전체 환자의 29%, 외과계 환자의 50%가 외상환자였으며, 2008년에는 1천500명의 외상환자가 입원치료를 받았다.
1999년 기준으로 국내 외상환자의 예방이 가능한 사망률이 40.5%에 이르고 최근에도 30%를 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높은 사망률도 외상체계만 갖추면 4.2%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이미 선진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체계적인 외상센터 건립과 인력양성을 추진해 현재 예방 가능한 사망률이 1%대의 성적을 내고 있다. 이는 한국과 30년 이상의 격차인 셈이다.
아주대병원 조기홍 외상센터장은 “2010년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중증외상환자의 거점센터가 없는 나라는 유일하게 한국뿐이며,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도 외상학 체계가 많이 뒤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라고 말하고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미국과 영국, 일본 등의 선진 외상학 체계를 배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학술대회는 총 4개의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제1세션에서는 ‘외상치료체계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왜 범국가적인 외상치료체계가 필요한가?(UC San Diego의 Raul Coimbra 교수) ▲중증 외상 센터를 위한 외상체계 개발 방안(왕립런던병원 Mike Walsh 교수) ▲외상진료체계 수립: 일본(CHIBA TRAUMA CENTER의 Kunihiro Mashiko 교수) ▲외상진료체계 수립: 홍콩(HONG KONG CHINESE UNIVERSITY의 Colin Graham 교수)에 대해서 들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제2세션은 ‘외상진료체계를 위한 정부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영국 런던의 중증외상진료체계: 설계에서 구축까지(영국 보건성의 Tracy Parr) ▲중증외상센터 설립을 위한 우리 정부의 계획(보건복지부 허영주 과장) ▲중증외상한자 치료 시 당면하는 비 임상적인 어려움(연세대 이재길 교수)에 대해 발표한다.
제3세션은 ‘선진국 외상외과전문의의 활동상황’을 주제로 ▲외상수술의 실제(왕립런던병원 Karim Brohi 교수) ▲외상외과 의사의 역할(CHIBA TRAUMA CENTER의 Yuichiro Sakamoto 교수) ▲중증외상에서의 연구과제(왕립런던병원 Ross Davenport 교수)에 대한 내용이 발표된다. 특히 이번 세션에서는 외상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왕립런던병원 외상센터의 Karim Brohi 교수가 외상외과 영역의 최신 수술법도 소개할 예정이다.
마지막 제4세션은 ‘외상외과의사, 그 미래’라는 주제로 ▲한국의 외상외과 수술(아주대 응급의학과 이국종 교수) ▲전시(戰時)상황에서의 외상치료 경험(미군 정형외과 군의관 Maj. Freccero) ▲대한민국 육군의 외상치료체계 발전 계획(현역 국군청평병원장, 흉부외과 군의관 이재혁 대령)에 대해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