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8곳은 직원들의 갑작스러운 퇴사로 인해 곤란을 겪어봤으며, 직급과 경력 년차가 낮을수록 퇴사자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인사담당자 227명을 대상으로 ‘퇴사자가 가장 많았던 직종과 직급’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9.7%의 응답자가 직원들이 갑작스럽게 퇴사해 곤란을 겪어봤다고 답했다고 20일 밝혔다.
직무 부문에서는 ‘생산·현장’ 부문에서 갑작스러운 퇴사자가 많았다고 답한 응답자가 29.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서비스(18.2%) ▲영업·영업관리(16.6%) 연구개발(12.1%) 순이다.
반면 ▲IT·정보통신(8.3%) ▲디자인(6.1%) ▲마케팅(4.4%) ▲홍보(2.8%) ▲재무·회계(2.2%) 분야는 갑작스러운 퇴사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퇴사자가 가장 많았던 직급과 경력 년차는 입사1년 미만의 신입사원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퇴사자가 많았던 직급으로는 ‘사원급’이 4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리급(28.2%) ▲과장급(16.0%) ▲부장급(8.8%) 순이다.
퇴사가 가장 많았던 경력으로는 ‘1년 미만’을 꼽은 응답자가 40.3%로 가장 많았고 ▲1~3년(28.7%) ▲3~5년(17.7%) 순이었다. ▲7년 이상과 ▲5~7년을 꼽은 응답자는 각 9.4%, 3.9%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