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지난 2007년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지 않으려고 대거 공급됐던 아파트가 올 들어 본격 입주를 시작해 아파트 매매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특히 최근 보금자리주택 공급 등에 따른 집값 약세 시점에 과잉공급까지 겹칠 경우 계약자들이 새 아파트로 입주하지 못해 고통받는 ‘입주대란’이 우려된다.
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30만2천여 가구로 지난해(28만1천여 가구)에 비해 2만여 가구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수도권은 지난해보다 1만5천 가구가 많은 17만1천여 가구가 입주해 주변 아파트 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지난 2007년에 사업승인을 받은 아파트는 공공, 민영을 통틀어 총 55만6천여 가구(수도권 32만 가구)에 달한다.
이는 분양가 상한제가 본격 시행된 2008년 37만1천여 가구, 지난해 38만1천여 가구(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 포함)가 사업승인을 받은 것에 비하면 50%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아파트 건설기간이 통상 2~3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2007년~2008년 초에 분양한 아파트가 올해 본격적으로 입주가 진행된다.
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14만5천800여 가구)에 비해 하반기(15만3천500여 가구) 입주물량이 더 많아 집값 약세가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9월 이후로는 용인 신봉동 수지 자이2차, 성복자이 2차, 동일하이빌과 고양시 덕이동 신동아파밀리에, 일산자이위시티 등 고분양가 논란을 빚었던 대규모 단지들이 한꺼번에 입주할 예정이어서 분양가 이하 매물이 속출하고, 입주율이 저조해 불 꺼진 아파트가 급증할 것으로 우려된다.
부동산114 김규정 부장은 “2007년 상한제 회피 분양 물량이 결국 집값 회복에 발목을 잡고 있다”며 “내년에는 입주물량이 감소하지만 올 연말 입주가 시작되는 아파트가 적지 않아 내년 초까지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