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 필요한 고가의 시험연구 장비를 정부기관인 경기지방 중소기업청에서 구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보유장비 대부분이 지난 2000년 이전에 구입된 노후된 장비로 환경, 녹색기술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산업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이하 경기중기청)에 따르면 경기중기청이 보유한 시험연구 장비는 ICP(유도결합플라즈마), 수은 분석기, GCMS(가스크로마트 질량분석기) 등 화학분석장비가 대부분으로, 현재 총 81대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이들 장비 중 절반 이상인 50여대는 지난 2000년 이전에 구입된 노후 장비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부가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환경 등 녹색산업에 필요한 시험분석장비는 중소기업지원기관인 중기청에서 전혀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시험연구장비 관련 구입을 위해 매년 20억원(전국 단위)정도의 예산이 중기청에 배정되고 있지만 전국 지방청의 수가 11곳인 것을 감안하면 대당 3억원을 웃도는 신규 시험분석 장비 1대 조차 구입하기 어렵다는 것이 중기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현재 EU, 중국 등 주요 수출국들은 RoHS(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제한지침), REACH(신화학물질관리정책) 등의 환경안전 규제를 확대, 강화하고 있다.
때문에 국내 중소기업들은 이에 필요한 시험분석장비 등의 지원 서비스가 절실한 입장이다. 하지만 정부 지원기관들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면서 국내 기업의 80%가 다국적 시험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 다국적 시험기관에 국내 중소기업들이 지불하고 있는 비용은 연간 약 8천원에 달한다.
도내 A중소기업 김모(38) 대표는 “대외적으로 환경규제 등이 점차 강화되면서 이를 위한 시험분석 등의 비용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중소기업이 변화하는 만큼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의 서비스 역시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