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구조조정과 관련한 퇴출건설사 명단이 이달 말 발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대한건설협회가 ‘선별적 구조조정’을 당부하는 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했다.
22일 대한건설협회와 금융계에 따르면 채권은행단은 빠르면 오는 25일 구조조정에 오를 건설사들의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 구조조정 결과 시공능력 상위 300위권내 건설사중 15~20곳 정도가 퇴출 또는 워크아웃 판정을 받게 된다.
특히 시공능력 상위 100위권 내 업체에서도 C등급을 받는 업체 수가 10개 내외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이날 대한건설협회는 건설 구조조정을 선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건의문’을 국민권익위원회와 금융위원회, 국토해양부 등 정부 당국에 전달했다.
협회는 건의문을 통해 최근 금융당국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삼고 있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300위권 업체들은 국내 건설시장의 75%, 민간 주택시장의 88.6%를 점유하고 있어 과도한 구조조정을 추진할 경우 건설산업이 심각한 타격을 입어 민간주택 공급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고 주장했다.
특히 상위 300위 업체의 종업원과 협력업체, 자재업체 등 직·간접적인 고용효과가 159만8천명에 달해 퇴출 규모가 커질 경우 건설업 종사자의 생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협회는 이에 따라 이번 구조조정을 선별적으로 진행해 퇴출업체를 최소화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협회 관계자는 “무리한 건설업계의 구조조정은 국민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가 상당히 클 것”이라며 “건설업계가 겪고 있는 어려운 경영여건을 감안해 구조조정 대상을 최소화하고 경기 회복이 가시화될 때까지 정부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건의문에는 오는 8월 말 종료되는 대주단 협약 운영기간을 1년 정도 연장해줄 것과 신용보증기금의 보증부대출의 보증비율을 현행대로 95%까지 유지시켜 줘야 한다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