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나홀로 상승세를 누렸던 판교 신도시 부동산 시장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이는 지난 9일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12일 성남시 측이 부채지급 유예 선언을 하면서 이 같은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으리란 우려섞인 관측 때문이다.
15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수도권 신도시 전체에서 아파트값이 평균 2.31% 하락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판교는 같은기간 동안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1.22% 올랐다.
특히 판교의 전셋값은 강남권의 전세난에 반사특수를 누리며 6개월 만에 무려 25.84%나 상승했다.
이에 대해 부동산 업계는 그동안 도시 인프라 부족과 경기침체 속에 저평가됐던 판교 부동산이 제값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풀이했다.
실제 판교 백현마을9단지 126㎡형은 올 초만 해도 8억9천만원에 거래됐으나, 최근에는 10% 가까이 오른 9억7천500만원에 팔리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기준금리가 인상되고 성남시가 지급유예를 선언한 판교특별회계 5천200억원이 판교신도시의 도시기반시설을 만들기 위한 돈으로 밝혀지면서 판교 위기설이 감돌고 있다.
이번 사태로 판교의 가장 큰 약점으로 꼽히는 도시기반시설 구축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더욱이 5조원 규모의 복합상업시설인 ‘알파돔’이 개발사의 토지 중도금 미납으로 사업 위기설이 나돌면서 이러한 우려는 더욱 증폭되고 있다.
현지에서는 불안한 눈으로 사태를 관망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적극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동판교의 삼평동 A공인중개사 대표는 “집주인들이 불안한지 어제오늘 문의 전화가 부쩍 늘었다”며 “호가를 낮춘 매물도 몇 건 나오긴 했지만, 적극적으로 팔거나 사려고 하는 세력이 없어 거래가 끊겼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