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업자들은 지난 19일 교육과학기술부가 초·중·고교 졸업앨범 납품비리를 막기 위해 학생과 학부모가 직접 만들 수 있는 ‘전자졸업앨범’을 적극 도입하기로 발표하자 생존권을 박탈하는 일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사진앨범인쇄협동조합연합회(이하 앨범인쇄조합)에 따르면 교과부는 우선 졸업생 30명 이하인 전국 2천815개 학교를 대상으로 이르면 내년 2월 전자앨범을 도입할 계획이며 오는 2012년 2월부터는 전국의 모든 초·중·고교에서 학생과 학부모가 자체적으로 전자졸업앨범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앨범인쇄조합은 25일 결의문을 통해 “일부 비리업체 등으로 인해 성실히 생활하는 영세소상공인들이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전자졸업앨범 보급대책의 즉각적인 철회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교과부가 졸업생 30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나 도서·벽지 지역 학교에 대해 업자들이 앨범 제작을 기피해 졸업생들이 고가로 구매하고 있어 이를 막기 위해 전자앨범 도입을 주장하고 있으나 이들 학교는 일반 학교의 2~3배를 받아도 남는게 없다”며 “이는 업체들에게 떠넘길 문제가 아니라 정부의 무상지원 사업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또 전자졸업앨범을 CD를 통해 저장한다는 교과부의 의견에 대해 “현재 CD는 사라지는 추세로 복사된 CD의 수명은 5년 밖에 되지 않고 3년 마다 백업을 해야 한다”며 “교과부의 발상자체가 현실을 모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종이앨범제작에 드는 비용이 고가라는 주장에 대해 “졸업앨범의 평균가격은 3만5천~4만5천원 선으로, 학생들이 주로 구매하는 교복이 평균 12만~28만원, 운동화는 5만~16만원이고 수련회 참가비용의 경우 16만원 정도가 소요되는데 졸업앨범가격이 고가라서 학부모들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주장은 억측”이라고 항변했다.
앨범인쇄조합 관계자는 “실질적인 교육비리의 근본적인 해결은 외면한 채 영세 앨범업자들을 매장시키는 어처구니없는 궁여지책에 불과”하다며 “전자졸업앨범 도입을 즉각 철회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앨범인쇄조합은 26일 대전에서 5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교과부의 ‘졸업앨범 제작관련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철회를 요청하는 규탄대회를 진행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