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Money Q&A] 수입 일정액 저축 목돈 마련하라

저축 못하는 맞벌이 부부 재무상담

Q. 맞벌이 부부입니다. 현재 월 수입은 세후 500만원 정도 입니다.

매월 보험비 63만원(남편 종신·화재·운전자·암, 아내 건강·화재·연금, 아이 화재·생명·태아)을 불입중이며 관리비와 대출이자 30만원, 휴대전화와 인터넷 등 통신비 19만원, 육아비 100만원, 생활비 100만원, 가족 및 부부 모임관련 각종 회비 19만원, 자동차 할부금(2011년 4월 종료) 47만원 등 총 390만원을 사용 중입니다. 수치상 매월 110만원의 여유 자금이 남지만 저축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현재 가계 구조를 개선하고 싶은데 계속 맞벌이를 하는것이 좋은 것인지, 아니면 올 겨울에 태어날 둘째에 대비해 외벌이로 전환해 아기 육아비 등의 지출을 줄이는 것이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전반적인 재무 상태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올 겨울 둘째 출산… 전반적 재무상태 점검

A. 현재의 가계에 무엇이 문제이며 현 가계 구조를 개선하고 싶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일단 문제점을 보면 4가지 정도가 눈에 띕니다.

1. 보험이 너무 과다하다.

현재 가입한 보험을 보면 4사람에게 들어간 보험이 63만4천원입니다. 꼼꼼히 따져서 가입했겠지만 보험은 통상 20년 이상은 납입해야 하는 장기상품으로 앞으로 이 금액을 넣어야 할 날이 많이 남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수입을 500만원이라고 했을 때 수입의 1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한 보험료로는 너무 과다해 보입니다. 일단 아이의 생명보험과 아내의 연금보험 중심으로 줄여 보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 어떤 내용의 보험인지 알 수 없어 자세한 상담을 어려우니 수입의 7% 이내로 줄이도록 리모델링 해 보길 바랍니다.

2. 휴대폰 요금을 줄여라.

과다한 휴대전화 요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한번 찾아보길 바랍니다. 매달 수입의 4%의 통신비는 없어지는 돈인 만큼 조금만 노력하면 더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생활비의 내역이 불분명하다.

외식비, 생필품 구입 등 기타 지출의 비중이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육아비로 100만원을 지출하고 있고 맞벌이 부부인 만큼 지출을 줄일 의지를 가지고 가계부를 사용한다면 생활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매달 고정지출 이외에 110만원의 흔적이 없다.

맞벌이 생활을 꽤 한 것 같은데 모아놓은 목돈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아마도 흔적도 없이 없어진 듯 한 것으로 보아 관리의 허술함이 보입니다. 현재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20%의 목표와 80%의 실천이 필요해 보입니다.

보시면 알겠지만 대다수 지출이며 저축이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3가지만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첫째, 부채는 먼저 없애라.

자동차 구입으로 인한 할부금이 9개월 가량 남은 상태입니다. 금액으로 따지면 450만원이 되지 않는데 일단 이것부터 해결해야 합니다. 매달 110만원 가량의 잔액이 사라진다고 하니 먼저 월급날 110만원의 잔액을 먼저 씁니다. 매달 50만원 가량 내는 할부금과 함께 3달 정도 갚으면 할부금이 끝나게 됩니다. 즉 8~10월에 50만 원정도(총 150만 원)의 할부금을 내고, 잔액 110만원을 할부금 갚는데 넣는다면(총 330만원) 총 480만원으로 할부금을 초과하게 돼 차 할부금이 끝날 수 있습니다.

둘째, 겨울에 태어날 2세를 위해 출산비를 대비하라.

요즘 출산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조리원뿐만 아니라 병원비까지 포함하면 대략 200~300만원 정도의 비용을 마련해 두길 바랍니다. 차 할부금을 3개월에 끝낸 11월이 되면 매달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160만원(차 할부금 50만원 + 잔액 110만원) 가량으로 11~12월 두 달만 모으신다면 출산비까지 마련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3개월 가량은 따로 큰 지출이 들어가지 않고 부인이 아이를 양육할 수 있는 만큼 양육비 부담도 줄일 수 있고 기타 외식비도 줄어들어 가계지출이 줄어들게 됩니다.

셋째, 지출보다 저축을 먼저 하라.

현재 저축의 소중함, 목돈에 대한 소중함이 부족해 보입니다. 따라서 매달 수입의 30~35%가량을 저축한다고 계획을 세우고 목돈 마련을 시작해 보길 바랍니다. 150 ~ 170만원 가량을 1년제 적금에 가입해 보면 동기부여뿐만 아니라 목돈의 위력, 소중함을 느끼게 되어 점점 저축형 인간으로 바뀌게 됩니다. <자료제공 : 재테크 포탈 No1. 모네타 (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 : 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