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은 퇴사시키고 싶은 블랙리스트 직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은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593명을 대상으로 ‘퇴사시키고 싶은 직원의 블랙리스트 존재 여부’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71.2%가 ‘있다’라고 응답했다고 3일 밝혔다.
퇴사시키고 싶은 블랙리스트 직원 유형 1위는 회사에 불평·불만이 많은 직원(50%)으로 나타났다.
이어 업무성과가 떨어지는 직원(48.3%), 잦은 지각 등 근무태도가 불량한 직원(44.1%), 예의·매너가 없는 직원(41.2%), 협업이 안 되는 이기적인 직원(36.5%), 회사의 지시 사항을 무시하는 직원(33.9%), 지나치게 자기 주장이 강한 직원(23.5%) 등이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직원이 받는 불이익으로는 ‘인사평가에 영향을 받는다’는 응답이 39.1%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특별한 불이익은 없다(34.8%), 연봉협상에 불이익을 당한다(18.5%), 기타(4.5%), 휴가 등 복리후생에 제지를 당한다(1.9%), 출장 등 업무상 제지를 당한다(1.2%) 순이었다.
실제로 블랙리스트 직원에게 퇴사 가능성 등을 표현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75.6%가 ‘표현한다’고 답했다.
표현 방법으로는 직접 본인에게 말한다(20.4%)를 첫 번째로 꼽았고, 이어 눈치를 준다(15.9%), 직속 상사를 불러서 전한다(14%), 업무·부서 재배치 등으로 표현한다(12.8%), 회식 등 자리에서 농담처럼 말한다(8.1%) 등의 순으로 대부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