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물순환형 수변도시 조성사업’ 참여 포기(본지 5일자 18면)와 관련한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해명에 나섰다.
시는 ‘물순환형 수변도시 조성사업’은 4대강 살리기 일환으로 추진됐으나 환경파괴의 우려가 높고 심각한 고양시 재정위기 속에서 추가 재정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 제안심사 단계에서 참여를 포기한 것이라고 8일 밝혔다.
시는 ‘물순환형 수변도시 조성사업’의 총사업비는 460여억 원으로, 관행적으로 사업비의 15% 정도인 70여억 원이 시 부담으로 예상돼 2천700억 규모의 채무를 안고 있는 열악한 시 재정 여건을 감안할 때 추가 재정 부담이 예상되는 사업에 참여하기가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인수위원회에 참여한 환경전문가에 따르면 한강에서 북한산까지 22㎞구간에 보(숯보)를 설치해 물길을 끌어들일 경우, 한강물 정화비용 등 수십억에서 수백억까지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고 전했다.
특히 시는 인공적인 하천으로 조성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러운 하천으로 유지·관리하는 것이 올바른 하천관리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국토해양부에서 지난 5월 4대강 주변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거쳐 지난 6월25일~7월2일 제안서를 제출받아 경쟁 심사를 거쳐 수계별로 1개 도시를 선정하는 방식의 시범사업으로, 시범사업 제안심사에 참여하더라도 한강수계 3개 광역시(경기, 강원, 충북)의 기초자치단체 중 단 1개의 도시만 선정되는 사업”이라며 “시가 대상사업지로 결정된 뒤 포기한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시가 응모하더라도 선정된다는 보장은 없으며 다만 하상을 굴삭해 관거를 매설하는 과정에 환경파괴, 시 재정 부담, 운영비용과 에너지 낭비 등을 고려해 제안심사단계에서 참여를 하지 않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