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가 극심한 침체를 보이면서 중대형 건설사 중 절반 이상이 올해 아파트 공급 계획물량의 상당수를 포기하거나 연기하고, 공동주택지도 위약금을 물더라도 매각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주택협회는 올해 아파트 분양계획이 있는 43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주택사업 여건변화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0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보면, 43개 응답업체중 27개사(62.8%)가 주택사업의 규모를 축소하겠다고 답했고, 현상유지를 하겠다는 업체는 16개사(37.2%)였다.
이 가운데 24개사는 올해 들어 총 6만8천452가구의 분양을 포기하거나 연기했다고 응답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4만3천845가구, 지방이 2만4천607가구다.
또 주택건설 사업계획승인 신청을 포기하거나 연기한 회사는 17개사로 3만3천875가구(수도권 1만6천954가구, 지방 1만6천921가구)에 달했다.
공공택지지구의 공동주택용지는 21개사가 63개 필지를 보유중이며 이 가운데 19개사에서 40개 필지(170만2천㎡)의 계약을 해지했거나 해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미 공공택지의 계약을 해지한 건설사는 10개사로 이 가운데 절반인 5개사(필지수는 19개중 10개)가 위약금을 물고 계약을 해지했다.
특히 향후에도 계약을 해지하고 싶다는 건설사도 14개사, 21개 필지(100만2천㎡)에 달해 건설사들의 주택사업 의지가 크게 위축됐음을 알 수 있다고 주택건설협회는 설명했다.
아울러 주택사업 물량이 감소하면서 43개 응답업체중 22개사(51.2%)가 주택사업 전담 부서를 축소했고, 응답업체의 25개사(58.1%)는 인력을 감축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 방안으로는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최우선으로 완화(46.5%)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양도세 및 취득·등록세 등 세제 개선, 담보대출인정비율(LTV) 규제 완화, 분양가 상한제 폐지, 2종 일반주거지역 평균 층수 제한규정 폐지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