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주택의 사전예약 물량이 앞으로는 부동산 시장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절된다.
국토해양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주택경기 침체로 수도권의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는 점을 고려해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 물량을 시장 상황에 맞게 조절할 방침이라고 17일 밝혔다.
이와 관련해 오는 11월 진행할 서울 항동, 인천 구월, 광명 시흥, 하남 감일, 성남 고등지구 등 3차 지구 5곳의 사전예약 물량을 1, 2차 때보다 줄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인 사전예약 물량은 오는 10월 지구계획 확정시 결정된다.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분은 분양물량의 80% 이하에서 정할 수 있게 돼 있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5월 실시한 시범지구와 2차 사전예약에서는 설계가 덜 끝난 일부 블록 등을 제외하고 일반 분양아파트 기준(임대 제외)으로 각각 분양물량의 70%와 73%가 사전예약으로 배정됐다.
그러나 주택경기 침체로 2차 사전예약부터 청약자가 감소하고 남양주 진건, 부천 옥길, 시흥 은계 등 경기권 3개 지구에선 사전예약 물량의 20%가 넘는 1천333가구가 미달되면서 사전예약 물량을 축소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LH는 3차 사전예약을 앞두고 지구별 사전예약 물량을 조절할 방침이다.
LH 관계자는 “광명·시흥지구의 경우 물량이 많은 데다 2차 지구 시흥 은계지구의 사전예약에서도 미분양이 발생한 점이 3차 지구의 사전예약 물량 배정 때 고려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전예약 물량 축소는 시장에 내놓는 공급물량을 줄이는 것이어서 건설업계가 요구하는 보금자리주택 사업의 ‘속도조절’ 효과를 낼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