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국 최대 규모의 청사와 달리 용인시청사 내 민원인주차장 공간이 턱없이 부족해 청사를 방문한 민원인들이 주차에 어려움을 겪어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본지 16일자 16면) 용인시가 각 구청 등과 달리 단지 공직자들의 불편을 핑계로 유료화를 미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빈축을 사고 있다.
특히 시의 이런 방침으로 ‘저탄소 녹색성장’과 ‘에너지 절감’에 앞장서야 할 공직자들이 갖가지 편법으로 ‘민원인주차장 이용금지 규정’ 등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것은 물론 민원인들에게 고스란히 불편을 전가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도내 시·군과 용인시, 각 구청 등에 따르면 수원과 성남, 안양, 고양, 오산 등이 현재 청사 안과 인근 주차장을 유료로 운영하고 있다.
용인시도 처인구청과 기흥구청, 수지구청 내 주차장을 용인시공공청사부설주차장요금 징수조례에 따라 최초 30분은 무료, 이후 900원에 매10분마다 300원의 추가 요금을 받아 운영 중이며, 본청과 달리 직원들에게도 주차요금이 징수되고 있다.
결국 인근 시와 용인시 각 구청들이 유료화를 통해 차량운행 억제와 에너지 절감, 세수증대 등의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 반면 용인시만 ‘직원불만’을 핑계로 대중교통이용의 날, 요일제 운행 등의 에너지대책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것은 물론 시민들의 불편을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본지가 각 구청 내 주차장을 직접 확인한 결과, 시청을 찾는 시민들이 주차공간이 없어 골탕을 먹는 것과 달리 구청을 찾는 민원인들은 주차공간이 없어 불편을 겪는 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모(29·고매동) 씨는 “구청과 수원시 등을 방문할 경우 민원실에서 확인도장을 받으면 최대 1시간까지 무료라 업무를 보는데 별로 지장이 없다”면서 “유독 용인시청만 주차 때문에 짜증을 내는 일이 잦았는데, 시의 무대책 운영과 직원들의 얌체주차 때문이라니 과연 누구를 위한 시청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선우 용인시의회 의원은 “시청과 시의회의 진정한 주인은 87만 시민이고 민원뿐 아니라 시 발전을 위해 시청을 찾는데 불편함이 있으면 되겠느냐”면서 “시 집행부에 시민불편 개선을 위한 대책 수립과 집행을 즉각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청사 주차장의 유료화를 검토하긴 했지만 직원들이 불편해 해 일단 보류했었다”며 “에너지 절감대책에 적극 호응하고 민원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주차시스템구축 비용과 불법 주차금지 방안 등을 고려해 빠른 시일 내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