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8년 동안 수입대체산업 육성 등을 위해 부품소재산업 지원에 2조 2천500억 원을 투입했으나 일본으로부터 수입해온 상위 36개 품목 가운데 단 1개 품목만이 100% 수입대체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결과 일본과의 부품소재 무역수지도 같은 기간 동안 1천332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지식경제부가 4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한나라당 홍 일표(인천 남구 갑) 의원에게 제출한 ‘최근 8년간 대일본 수입 상위 20대 품목현황’에 따르면 매년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부품소재 상위 20대 품목을 집계한 결과 열연강판 등 모두 36개 품목이 해를 달리해가며 상위 20개 품목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36개 품목 가운데 차량용 기어박스, 조선용 후판, 편광판 등 33개 품목이 2003년부터 올해까지 꾸준히 수입되고 있으며, 산화니켈 1품목만이 2008년부터 수입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일본과의 부품소재 무역수지도 지난 2003년 139억달러, 지난해는 201억달러, 올해는 상반기에만 120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지난 8년간 모두 1천332억달러의 적자를 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정부는 무역역조를 개선하고, 세계시장을 선점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한편 글로벌 전문기술, 소재원천기술 개발과 부품소재기업의 전문화, 대형화를 지원을 위해 지난해 3천857억 원, 올해 3천597억 원등 모두 2조 2천500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